2010. 1. 19. 16:41
2판역부터는 쿠이사가리라는 것이 적용됩니다. 이는 울어서 만들었을 때 1판이 내려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2판역은 마작의 역의 중심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2판역을 얼마나 잘 만드는가가 상당히 중요하므로, 꼭 외웁시다.
1. 더블리-치 (両立直)
조건 - 치, 퐁, 캉(앙캉, 밍캉 어느쪽이든, 자신/타가 모두)이 없는 상태로 자신의 1순째에 리치를 건다. (첫 츠모 후 리치) 멘젠 2판
리치는 1판이지만, 더블리치는 2판입니다. 통칭 다부리-. 그 외의 특징은 리치와 같습니다. 참고로 리치의 상위역으로서, 리치와 중복되지 않습니다. 즉 더블리치를 걸었을 경우 리치가 붙을 수 없다는 겁니다.
2. 산쇼쿠도우쥰 (三色同順)
조건 - 만즈, 핀즈, 소-즈로 같은 슌츠를 만든다. 멘젠 2판, 울면 1판.
예













통칭 산쇼쿠.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삼색동순, 삼색이라고 합니다. 자주 쓰이는 역으로, 다른 역을 붙이기도 쉽습니다.
3. 산쇼쿠도우코우 (三色同刻)
조건 - 만즈, 핀즈, 소-즈로 같은 코츠(캉츠도 가능)를 만든다. 멘젠이든 울든 2판. (쿠이사가리 없음)
예












이건 산쇼쿠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삼색동각이라고 합니다.
4. 잇키츠으칸 (一気通貫)
조건 - 같은 종류의 수패로 123, 456, 789의 슌츠를 만든다. 멘젠 2판 울면 1판.
예













통칭 잇츠-라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일기통관이라고 합니다. 123456789가 다 들어가 있더라도, 123/456/789의 슌츠가 아니면 역으로 성립되지 않으므로 주의.
5. 챤타이야오 (全帯ヤオ)
조건 - 1, 9, 자패 (야오츄패)가 모든 멘츠와 쟝토에 포함되도록 만든다. 멘젠 2판 울면 1판.
예













통칭 챤타. 예제의 경우 6만도 대기에 포함되지만, 6만으로 나버리면 챤타가 붙지 않으니 주의.
6. 토이토이호우 (対々和)
조건 - 코츠(캉츠도 가능) 4개에 쟝토 1개로 난다. 울어도 2판.
예











통칭 토이토이. 코츠(캉츠도 가능)와 머리만으로 만들어지는 역입니다. 멘젠조건을 안써놓은 이유는...멘젠으로 코츠 4개를 모으는 것은 앙코 4개, 즉 스앙코가 되어버립니다. 역만이라 토이토이와 겹치지 않습니다. 역만인 만큼 토이토이와 만드는 난이도는 하늘과 땅 차이... 참고로 앙코 3개를 모으면 상앙코가 붙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코츠 계열의 역을 붙이기 쉽습니다.
7. 치-토이츠 (七対子)
조건 - 토이츠를 7개 모은다. 멘젠 2판.
예













통칭 치-토이. 치토이는 특수한 역으로서, 멘츠 4개 쟝토 1개라는 마작의 기본룰과는 다른 형태의 특이한 역입니다. 토이츠를 7개 모으므로 당연히 멘젠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같은 패를 4개 갖고 있어도 토이츠 2개로는 인정되지 않는 점에 주의.
8. 혼로우토우 (混老頭)
조건 - 야오츄패만으로 패를 만든다. 멘젠이든 울든 2판.
예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혼노두라고 합니다. 역 자체가 2판인데, 야오츄패로 만드는 형태는 토이토이 혹은 치토이츠가 되므로 2판이 더 붙어서 4판이 된다고 보면 됩니다. 판패를 섞기도 좋지만, 혼노두 자체가 만들기가 쉽지만은 않습니다.
9. 상앙코- (三暗刻)
조건 - 앙코(앙캉도 가능)를 3개 만든다. 멘젠이든 울든 2판.
예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삼암각이라고 합니다. 토이토이 등 코츠 계열 역과 섞기에 좋지만 만들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앙코가 하나 더 늘어나면 스앙코가 되어 역만입니다.
10. 상캉츠 (三槓子)
조건 - 캉츠를 3개 만든다. 멘젠이든 울든 2판.
예













앙캉을 3번 했을 경우는 상앙코가 붙습니다. 캉은 앙캉, 다이밍캉, 추가캉 상관없이 3번 하면 됩니다. 캉츠가 하나 더 늘어나면 스캉츠가 되어 역만입니다.
11. 쇼우산겐 (小三元)
조건 - 삼원패 중 2개를 코츠로 모으고, 1개를 쟝토로 만든다. 멘젠이든 울든 2판.
예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소삼원이라고 합니다. 판패 2개가 포함되므로 +2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삼원패를 모두 코츠 혹은 캉츠로 모으면 다이산겐이 되므로 역만이 됩니다.
1. 더블리-치 (両立直)
조건 - 치, 퐁, 캉(앙캉, 밍캉 어느쪽이든, 자신/타가 모두)이 없는 상태로 자신의 1순째에 리치를 건다. (첫 츠모 후 리치) 멘젠 2판
리치는 1판이지만, 더블리치는 2판입니다. 통칭 다부리-. 그 외의 특징은 리치와 같습니다. 참고로 리치의 상위역으로서, 리치와 중복되지 않습니다. 즉 더블리치를 걸었을 경우 리치가 붙을 수 없다는 겁니다.
2. 산쇼쿠도우쥰 (三色同順)
조건 - 만즈, 핀즈, 소-즈로 같은 슌츠를 만든다. 멘젠 2판, 울면 1판.
예
통칭 산쇼쿠.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삼색동순, 삼색이라고 합니다. 자주 쓰이는 역으로, 다른 역을 붙이기도 쉽습니다.
3. 산쇼쿠도우코우 (三色同刻)
조건 - 만즈, 핀즈, 소-즈로 같은 코츠(캉츠도 가능)를 만든다. 멘젠이든 울든 2판. (쿠이사가리 없음)
예
이건 산쇼쿠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삼색동각이라고 합니다.
4. 잇키츠으칸 (一気通貫)
조건 - 같은 종류의 수패로 123, 456, 789의 슌츠를 만든다. 멘젠 2판 울면 1판.
예
통칭 잇츠-라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일기통관이라고 합니다. 123456789가 다 들어가 있더라도, 123/456/789의 슌츠가 아니면 역으로 성립되지 않으므로 주의.
5. 챤타이야오 (全帯ヤオ)
조건 - 1, 9, 자패 (야오츄패)가 모든 멘츠와 쟝토에 포함되도록 만든다. 멘젠 2판 울면 1판.
예
통칭 챤타. 예제의 경우 6만도 대기에 포함되지만, 6만으로 나버리면 챤타가 붙지 않으니 주의.
6. 토이토이호우 (対々和)
조건 - 코츠(캉츠도 가능) 4개에 쟝토 1개로 난다. 울어도 2판.
예
통칭 토이토이. 코츠(캉츠도 가능)와 머리만으로 만들어지는 역입니다. 멘젠조건을 안써놓은 이유는...멘젠으로 코츠 4개를 모으는 것은 앙코 4개, 즉 스앙코가 되어버립니다. 역만이라 토이토이와 겹치지 않습니다. 역만인 만큼 토이토이와 만드는 난이도는 하늘과 땅 차이... 참고로 앙코 3개를 모으면 상앙코가 붙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코츠 계열의 역을 붙이기 쉽습니다.
7. 치-토이츠 (七対子)
조건 - 토이츠를 7개 모은다. 멘젠 2판.
예
통칭 치-토이. 치토이는 특수한 역으로서, 멘츠 4개 쟝토 1개라는 마작의 기본룰과는 다른 형태의 특이한 역입니다. 토이츠를 7개 모으므로 당연히 멘젠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같은 패를 4개 갖고 있어도 토이츠 2개로는 인정되지 않는 점에 주의.
8. 혼로우토우 (混老頭)
조건 - 야오츄패만으로 패를 만든다. 멘젠이든 울든 2판.
예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혼노두라고 합니다. 역 자체가 2판인데, 야오츄패로 만드는 형태는 토이토이 혹은 치토이츠가 되므로 2판이 더 붙어서 4판이 된다고 보면 됩니다. 판패를 섞기도 좋지만, 혼노두 자체가 만들기가 쉽지만은 않습니다.
9. 상앙코- (三暗刻)
조건 - 앙코(앙캉도 가능)를 3개 만든다. 멘젠이든 울든 2판.
예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삼암각이라고 합니다. 토이토이 등 코츠 계열 역과 섞기에 좋지만 만들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앙코가 하나 더 늘어나면 스앙코가 되어 역만입니다.
10. 상캉츠 (三槓子)
조건 - 캉츠를 3개 만든다. 멘젠이든 울든 2판.
예
앙캉을 3번 했을 경우는 상앙코가 붙습니다. 캉은 앙캉, 다이밍캉, 추가캉 상관없이 3번 하면 됩니다. 캉츠가 하나 더 늘어나면 스캉츠가 되어 역만입니다.
11. 쇼우산겐 (小三元)
조건 - 삼원패 중 2개를 코츠로 모으고, 1개를 쟝토로 만든다. 멘젠이든 울든 2판.
예
한국에서는 음독으로 소삼원이라고 합니다. 판패 2개가 포함되므로 +2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삼원패를 모두 코츠 혹은 캉츠로 모으면 다이산겐이 되므로 역만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