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10. 11. 03:56
수패(스으하이) | 1 (이-) | 2 (량) | 3 (산) |
4 (스-) |
5 (우-) |
6 (로-) |
7 (치-) |
8 (파-) |
9 (츄- 혹은 큐-) |
만수 (만즈 혹은 완즈) |
|||||||||
통수 (핀즈) |
|||||||||
삭수 (소-즈) |
마작용어는 중국어, 일본어가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리치마작, 즉 일본마작이며 제가 설명할 게임 또한 일본마작을 기준으로 작성하므로 용어도 그에 맞춰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발음의 경우 가능한 한 일본마작에 가까운 원음표기를 합니다만 편의에 따라 한국의 독음을 사용하기도 하겠습니다. 예를 들면 량핑이라고 부르지 않고 2통이라고 표기하겠다는 이야기입니다.
위의 표는 마작패 중 수패(数牌)를 정리한 표입니다.
만수(萬子), 통수(筒子), 삭수(索子)의 3종류로 나눠집니다.
완즈/만즈, 츄-/큐-의 경우는 둘 중 어느것을 써도 됩니다. 일단 알아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특히 숫자 읽는 법은 숫자패 외에도 쓰이는 곳이 있으니까 한번 외워주시면 편리합니다. 위의 표대로 읽는 법은 숫자를 앞에 두고 뒤의 ~즈를 빼면 됩니다. 8삭이면 파-소-, 6만이면 로-완 혹은 로-만. 하지만 모르셔도 마작 치시는 데에 큰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 마작 아니메를 자막없이 보시겠다면 이정도는 아셔야 재미있게 보실 수 있습니다. ㅋ...
참고로 위의 순서는 도라표시패의 순서도 됩니다. 1234567891의 순입니다만 도라를 설명할때 이건 도라를 설명할 때 다시 설명드리는 게 낫겠지요.
그리고 마작패의 종류에 따라 1삭의 형태가 문제가 되는데, 새처럼 생긴 패는 위와 형태가 다르더라도 1삭이라고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또한 8삭의 모양이 뒤집힌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위가 W, 아래가 M인 형태의 이미지입니다. 반대로 위가 M, 아래가 W형인 마작패도 있습니다. 그다지 눈에 띄지는 않지만. (수패 중에 다른 패는 모양이 바뀔 일이 거의 없습니다. 사키 마작패나 건담마작패 같은 아예 형태가 다른 캐릭터마작패 같은 것을 제외하면...)
바람패(카제하이) |
||||
삼원패(산겐파이) | 자패(츠으하이 혹은 지하이) |
남은 것은 자패(字牌)입니다. 자패는 바람패(風牌)와 삼원패(三元牌)로 나뉘는데, 자패의 활용은 역에서 설명하는 것이 좋겠죠. 위의 순서대로 바람패는 동남서북, 삼원패는 백발중 순입니다. 중국이나 대만 쪽의 패 중에 백이 그냥 하얀 패가 아니라 네모난 테두리가 파인 패를 쓰는 경우가 있으니 그 쪽의 패를 쓰실 분은 주의하세요. (예비패 중에 아무것도 없는, 위의 백 같은 패를 두어 개 줍니다만, 그건 직접 파서 분실한 패 대신 보충하라는 의미입니다)
동은 톤(トン), 남은 난(ナン), 서는 샤-(シャー), 북은 페-(ペイ)라고 읽습니다. 백은 하쿠(ハク), 발은 하츠(ハツ), 중은 츈(チュン)이라고 읽습니다.
이 외에 중국/한국마작에서 꽃패를 사용합니다만, 일본마작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룰이므로 저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위의 수패 9*3, 자패 7종으로 34종류의 패가 있으며, 이것이 4개씩 있으므로 *4로 총합 패의 갯수는 136개입니다.
이렇게 일단 순서대로의 배열은 끝났지만, 사실 마작의 패 분류는 꽤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또 다른 분류에 대해 말씀드리죠. 앞으로도 자주 나올 개념이니 알아두시는 쪽이 좋습니다.
야오츄하이(幺九牌/ヤオ九牌) (요구패. 한국에서는 귀족패라고도 합니다) : 수패의 1, 9, 그리고 자패를 가리킵니다. 보통 이 패가 엮여서 만들어지는 역이 판수가 커집니다.
츈챵하이(中張牌) (중장패) : 수패의 2~8을 가리킵니다. 보통 이 쪽의 패를 많이 쓰는 것이 멘젠으로 빠르게 텐파이할 수 있습니다. (텐파이란, 패가 1개만 더 있으면 날 수 있는 형태를 가리킵니다)
로우토우하이(老頭牌) (노두패) : 수패의 1, 9를 가리킵니다. 야오츄하이에 속하므로 역시 이 패가 섞이는 역은 판수가 커집니다.
나는 과제는 안하고 뭐하는거지...
P.S : 용어는 위에 쓰인 것 이외에도 쓰이는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로 추가해주시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