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키'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12.02 나키(鳴き) 2
posted by IronPaper 2009. 12. 2. 09:18
마작에서는 다른 사람이 버린 패를 자신의 패를 만드는 데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鳴き(울기/받기)라고 합니다. 한가지 용어로 통일하기 어려우니 때에 따라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용어를 사용하겠습니다.

나키에는 치-(吃), 퐁(ポン), 캉(槓)의 3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나키로 만든 패는 버리거나 구성을 바꾸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모양을 확정짓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치는 상가(上家)의 버림패를 받아서 슌츠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상가란 자신이 봤을때 왼쪽에 앉아 있는 사람입니다. 치는 상가 이외에서는 받아올 수 없으므로 주의하세요. 치를 하고 싶을 때에는, 상가가 버린 패를 보고 그 패를 포함하면 3개의 연속되는 패가 될 수 있는 2개의 패가 있을때(즉, 상가가 버린 패를 포함하면 슌츠가 완성되는 대기패가 있을때)「치」라고 선언한 후, 상가가 버린 패와 함께 구성할 2개의 패를 쓰러트려서 확인시키고, 상가가 버린 패를 3개의 패 중 왼쪽 끝에 눕혀서 붙이고(상가가 버린 패를 받아왔다는 표시입니다)이렇게 완성한 3개의 패를 자신의 오른쪽 끝에 둡니다. 그 후, 자신의 패를 하나 버리면 됩니다. (남의 패를 1개 받아왔으므로, 츠모하지 않고 버려야 패의 갯수가 맞습니다)
그림으로 확인하면 이렇게 됩니다.

상대가 을 버리고 자신이 을 가지고 있을 때에, 「치」라고 선언한 후에 을 쓰러트려 확인시키고,

을 가져와서 의 왼쪽 끝에 눕혀서 붙이고 오른쪽으로 보냅니다. 그 후 자신이 버릴 패를 버립니다.

이런 모양이 됩니다.

퐁은 타가(他家)의 버림패를 받아서 코츠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다른 사람이 버리는 패와 같은 패가 2개 있을 때, 「퐁」이라고 선언한 후에 2개의 같은 패를 쓰러트려 확인시키고, 상가에서 받아왔을 경우 왼쪽, 대면에서 받아왔을 경우 가운데, 하가에서 받아왔을 경우 오른쪽을 눕혀서 붙이고 오른쪽 끝에 둡니다.(받아온 방향을 표시하는 것임) 그 후 자신의 패를 하나 버리면 됩니다. (치와 마찬가지로 남의 패를 받아왔으므로 츠모하지 않고 버립니다)
그림으로 확인하면 이렇게 됩니다.

만약 대면이 를 버리고 자신이 를 갖고 있을 때라면, 「퐁」이라고 선언한 후 를 쓰러트려 확인시키고,

상대가 버린 를 가져와서 의 가운데에 눕혀서 붙이고 오른쪽으로 보냅니다. 그 후 자신이 버릴 패를 버립니다.

이런 모양이 됩니다.

캉은 타가의 버림패를 받거나 자신의 손 안에서 캉츠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캉은 자신이 츠모해온 패만으로 캉을 하는 앙캉, 상대가 버린 패와 같은 패 3장이 있을 때 할 수 있는 다이밍캉, 퐁한 상태에서 같은 패를 츠모해왔을 때 할 수 있는 쇼밍캉(카캉, 챠캉(추가캉)이라고도 부름)이 있습니다.
앙캉은 자기 차례에 자신의 손 안에 같은 패가 4장 있을때 「캉」이라고 선언한 후 4장을 확인시키고 오른쪽 옆에 둡니다. 이 때 양끝의 2장(혹은 가운데의 2장)을 뒷면으로 덮어서 앙캉임을 표시합니다. 앙캉 표시 후, 도라표시패의 바로 오른쪽 패를 뒤집어서 캉도라(신도라)를 확인합니다. 그 후 패가 1장 부족해졌으므로 영상패에서 1장을 가져옵니다. 가져온 영상패로 났으면 점수를 계산하지만, 나지 못했을 경우 1장을 버립니다.
다이밍캉은 상대가 버린 패와 같은 패를 3장 갖고 있을 때 「캉」이라고 선언한 후 3장을 확인시키고, 상대가 버린 패를 가져와서 4장의 같은 패를 자신의 오른쪽 옆에 둡니다. 이 때 상가에서 받았으면 왼쪽 끝, 대면에서 받았으면 가운데(가운데의 양쪽 어디라도 그다지 신경 안 쓰는 거 같습니다), 하가에서 받았으면 오른쪽 끝의 패를 눕혀서 받아온 방향을 표시합니다. 다이밍캉 표시 후, 영상패에서 1장을 가져오고, 났으면 점수계산을 하고 나지 못했으면 1장을 버립니다. 패를 버린 후 신도라를 뒤집습니다.
카캉은 퐁한 상태에서 같은 패를 가져왔을 경우, 「캉」이라고 선언하고 퐁으로 눕혀진 패 위에 1장을 다시 얹습니다. 그리고 영상패에서 1장을 가져오고, 났으면 점수계산을 하고 나지 못했으면 1장 버립니다. 패를 버린 후 신도라를 뒤집습니다.


앙캉의 경우입니다. 4장을 갖고 있을 때, 「캉」이라고 선언하고 4장을 눕혀서 확인시키고 양 끝을 뒷면으로 덮어서 오른쪽으로 보냅니다. 신도라를 뒤집어서 확인한 후 영상패를 1장 가져와서 패를 확인하고, 형태가 완성되었다면 린샹카이호우(영상개화)로 날 수 있습니다. 형태가 완성되지 않았다면 자신이 버릴 패를 버립니다.

이런 모양이 됩니다.

다이밍캉의 경우입니다.
3장를 갖고 있을 때, 하가가 을 버렸다면, 하가가 버린 에 「캉」이라고 선언하고, 3장을 확인시킨 후 버려진 을 오른쪽 끝에 눕혀서 붙이고 오른쪽으로 보냅니다. 그 후 영상패를 1장 가져와서 확인하고, 형태가 완성되었다면 린샹카이호우(영상개화)로 날 수 있습니다. 형태가 완성되지 않았다면 자신이 버릴 패를 버린 뒤에 신도라를 뒤집어 확인합니다.

이런 모양이 됩니다.

쇼밍캉 (카캉 혹은 챠캉이라고도 함. 추가깡) 의 경우입니다.

상가가 버린 을 퐁으로 받아온 상태에서, 자신이 을 츠모해왔을 경우,

「캉」이라고 선언하고 눕혀놓은 의 위에 을 꽂고, 영상패를 1장 가져와서 확인한 후, 형태가 완성되었다면 린샹카이호우(영상개화)로 날 수 있습니다. 형태가 완성되지 않았다면 자신이 버릴 패를 버린 뒤에 신도라를 뒤집어 확인합니다.

이런 모양이 됩니다.